Charity suffereth long, and is kind; charity envieth not; charity vaunteth not itself, is not puffed up,
Doth not behave itself unseemly, seeketh not her own, is not easily provoked, thinketh no evil;
Rejoiceth not in iniquity, but rejoiceth in the truth;
Beareth all things, believeth all things, hopeth all things, endureth all things.
Charity never faileth: but whether there be prophecies, they shall fail; whether there be tongues, they shall cease; whether there be knowledge, it shall vanish away.
For we know in part, and we prophesy in part.
But when that which is perfect is come, then that which is in part shall be done away.
When I was a child, I spake as a child, I understood as a child, I thought as a child: but when I became a man, I put away childish things.
For now we see through a glass, darkly; but then face to face: now I know in part; but then shall I know even as also I am known.
And now abideth faith, hope, charity, these three; but the greatest of these is charity.
(1 Corinthians 13:4-13, KJV)
사랑은 오랫동안 참으며, 온화하고, 사랑은 질투하지 않고, 사랑은 스스로 자랑하거나, 뽐내지 않습니다.
자연스럽게 굴어도 부적절하게 행동하지 않고, 자기의 몫만을 찾지 않고, 쉽게 동요하지 않고, 악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부당함을 즐거워하지 않으나 진리를 즐거워합니다.
모든 것을 견디고, 모든 것을 믿고, 모든 것을 희망하고, 모든 것을 인내합니다.
사랑은 절대 없어지지 않지만, 예언들이 있다면, 그것들은 힘을 잃을 수 있습니다. 언어들이 있다면, 그것들은 끝날 수 있습니다. 지식들이 있다면, 그것들은 사라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파편적으로 알고, 파편적으로 예언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완벽한 것이 올 때, 그 후 부분적인 것은 완전해질 것입니다.
내가 아이였을 때, 나는 아이처럼 말하고, 아이처럼 이해하고, 아이처럼 생각했습니다. 그렇지만 내가 어른이 되었을 때, 나는 유치한 것들을 걷어치웠습니다.
지금 우리는 유리를 통해서 어둡게 봅니다. 하지만 나중에는 얼굴과 얼굴을 마주할 것입니다. 지금 나는 일부분만을 압니다. 그러나 나중에는 심지어 지금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조차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제, 믿음과, 희망과, 사랑, 이 셋을 나란히 놓으면, 이것들 중 가장 위대한 것은 사랑입니다.
한국어 성경도 버전이 여러 개가 있지만, 영어 성경은 더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제일 유명한 게 킹제임스버전(KJV)이랑 뉴인터내셔널버전(NIV)인데 흔히들 KJV는 원어 성경에 좀 더 가깝고 문체가 유려해 문학적으로도 아름다우며, NIV는 쉬운 영어로 되어 있어 어학용으로 추천할 만하다고 한다. 물론 그런 특징이 있다는 것만은 잘 알고 있었당. 어릴 때부터 두 권 다 집에 있었으니까... 하지만 내가 그 차이를 식별하면서 읽을 수 있게 되기까지 이만큼의 세월이 걸릴 줄은 몰랐지(ㅋㅋㅋㅋ)
그건 그렇고, 여기저기서 쪽글을 읽다가 우연히 일어 버전으로 이 구절을 보고 너무 좋아서 킹제임스 버전을 뒤졌는데- 아, 어릴 때 멋도 모르고 줄줄이 외우던 구절들이 이런 내용이었나, 싶은 거다. 세상에.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탕누어, 한자의 탄생 (0) | 2015.03.22 |
---|---|
류동근, 서울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0) | 2015.02.16 |
Edith Wharton (0) | 2015.01.25 |
Psalm 25:20 (0) | 2015.01.25 |
한지혜 外,『대학거부 그 후』발췌 (0) | 2015.01.24 |